1. 임신성 당뇨
임신 이전에는 당뇨가 없다가 임신 중후반에 발견되는 당대사 장애.
2. 검사기간
임신 24주 ~ 28주 사이에 시행.
3. 검사방법
1) 50g의 당을 마시고 1시간 후 혈장 포도당 농도가 140mg/dl 미만 통과
140mg/dl 이상인 경우 2차 검사 시행
2) 2차 검사는 8시간 이상 금식 후 100g 당을 마시고 혈당 측정
공복 혈당 95mg/dl 미만, 포도당 섭취 1시간 후 180 미만, 2시간 후 155 미만, 3시간 후 140 미만
4번 측정 중 2번 이상일 경우 임신성 당뇨 확진.
4. 임신성 당뇨로 확진시
하루 4번 채혈 및 식단 관리, 산부인과 방문 시 내과도 진료받아야 해요.
하루 4번의 채혈은 내과 선생님마다 기준이 조금 다르신 것 같아요.
제가 다니는 내과는 공복 95 미만, 아침 식후 2시간 뒤, 점심 식후 2시간 뒤, 저녁 식후 2시간 뒤
이렇게 하루 4번 채혈을 해야 하는데 식후 2시간은 120 미만 나와야 돼요.
채혈할 때 필요한 거는 채혈침, 채혈 기계, 혈당검사지, 혈당측정기가 필요해요
5. 식단 관리
당 수치가 많이 올라가지 않게 식단관리를 해야 해요.
선생님마다 기준이 다르시겠지만 저희 선생님은 과일은 조금만 먹으라 했어요.
1) 과일은 사과 1/3개, 귤 1개, 키위 1개 정도 먹기.
저는 과일을 좋아해서 며칠 동안 체크하면서 과일량을 조금씩 늘렸어요.
당 수치가 높아지면 과일량을 줄이겠지만 다행히도 과일 조금 많이 먹는다고 올라가진 않더라고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두 달 정도 되어가는 현재 하루에 사과 1개, 단감 1개, 샤인 머스켓 15알 정도
먹어도 정상 수치 유지하더라고요.
임산부는 먹고 싶은 거는 먹어야 되니깐 너무 스트레스받지 말고 수치가 높지 않다면 조절해가며 먹으면 될 것 같아요.
2) 비타민c가 풍부한 채소 및 철분과 영산이 풍부한 식품 섭취
철분이 풍부한 식품 - 난황, 육류, 견과류, 완두콩, 당근, 시금치 등
엽산이 풍부한 식품 - 호박, 고구마, 땅콩, 버섯, 브로콜리 등
3) 칼슘 보충을 위해 하루 2잔 정도의 유제품 섭취
4) 열량이 적은 식품(곤약, 해조류, 버섯류 등) 섭취
5) 짠 음식 및 인스턴트 음식 금지
평일에는 관리를 잘했지만 일요일에는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이라 먹고 싶은걸 먹었어요.
먹고 싶은걸 먹는 대신 양은 많지 않도록 노력했고요.
가끔씩 월요일 아침 공복에는 수치가 조금 상승하긴 하더라고요.
공복 95 미만으로 나와야 하지만 110 미만으로 나왔었지만 아침 식후 2시간부터는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서 전 일요일만큼은 타이트하게 식단 관리를 하지 않았어요.
6) 임신성 당뇨의 운동법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꾸준하게 일주일에 3번은 30분 정도의 운동도 하라고 하시더라고요.
단, 운동 중 무리를 느낀다 싶으면 중지하고 휴식을 취해야 해요.
뭐든 무리하면 임산부에겐 좋지 않으니깐요.
6. 임신성 당뇨를 관리하지 않을 경우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신생아 저혈당증의 질병,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기형아 출산 위험 증가 등.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 거대아 출산, 양수과다증, 조산, 임신중독증, 난산 등
모든 엄마가 그렇듯 임신했을 때는 나보다는 태아를 위해서 노력하는 것 같아요.
임신성 당뇨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을 경우 태아와 산모 둘 다 좋지 않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주셔야 될 것 같아요.
다행히 전 임신성 당뇨 1차 검사에서도 약간 넘은 수치로 2차 검사까지 진행하게 되었고
2차 검사에서도 약간 넘은 수치여서 걱정은 되었지만 다행히 잘 관리되고 있는 것 같아요.
럭키는 34주 산부인과 검진에서도 주수에 맞게 적당히 잘크고 있고 양수량도 적당하다고 하시네요.
이제 출산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럭키 만나는 날까지 럭키도 잘 자라고 당뇨관리도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모든 산모님들 파이팅해요~
'22년생 솔이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주 막달검사 (0) | 2022.11.19 |
---|---|
산모 건강관리서비스 신청 (0) | 2022.11.11 |
택시비 지원 해피맘콜 (0) | 2022.11.11 |
임신 후기 치골통 (0) | 2022.11.01 |
임신성 당뇨 진단 받은 날 (2) | 2022.10.28 |